정보제공 : ZEUS 장비활용종합포털(www.zeus.go.kr)
Adult Simulator
GBTP No. | - |
---|---|
NFEC등록번호 | NFEC-2022-10-282387 |
I-tube등록번호 | - |
보유기관 | 구미대학교 산학협력단 |
연락처 | 054-440-1445 |
모델명 | SimMan 3G | 제작사 | Laerdal |
---|---|---|---|
취득일자 | 2021-10-15 | 취득금액 | 88,000,000원 |
표준분류 | 임상의료장비 > 전문의학용특수장비 > 산부인과용검사장비 | 활용용도 | 시험 |
장비위치 | |||
장비설명 | SimMan 3G는 145개 이상의 약물에 대해 폭넓은 생리 및 신경학적 증상은 물론 약리학 반응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. | ||
구성 및 기능 |
●사양
완전 무선 및 독립형 설계 내부 전기 및 공압력 보조 유선 연결 및 전원 기존 컴퓨터 네트워크에 무선 통합 가능 교환 가능한 충전식 배터리 무선 모드로 약 4시간 연속 사용 가능 견고하고 신뢰성이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 ●다양한 기도 기술/기능: 1. 자동 또는 수동으로 기도 개방/폐쇄 가능 2. 두부 후굴/하악 거상 3. 턱 들어올리기(연접식 하악 포함) 4. 흡입(구강 및 비강) 5. 백-마스크 인공호흡 6. 구기관 삽관 7. 비기관 삽관 8. Combitube, LMA 및 기타 기도 삽입 9. 기도 내 튜브 삽관 10. 역행성 삽관 11. 광섬유 삽관 12. 경기관 제트 환기 13. 바늘을 이용한 윤상갑상막 절개술 14. 외과적 윤상갑상막 절개술 15. 가변적 폐 순응도 4가지 설정 16. 가변적 기도 저항 4가지 설정 17. 우측 기관지 삽관 18. 위장관 팽창 19. 타사 호흡 시뮬레이션과 연결 가능 ●기도 합병증: 20. 올바른 두부 위치 감지 21. 기관 내 삽관 불가능/인공호흡 가능 22. 기관 내 삽관 불가능/인공호흡 불가능 23. 혀 부종 24. 인두 종창(Pharyngeal swelling) 25. 성문연축 26. 경추 이동 범위 감소 27. 입벌림장애 ●호흡 기능: 28. 자발 호흡 29. 양쪽 흉부 상승 및 하강 30. CO2 호기 31. 정상 및 비정상 호흡음 32. 전면부 청진 부위(5곳) 33. 후면부 청진 부위(6곳) 34. 산소 포화도 및 파형 ●호흡 합병증: 35. 청색증 36. 바늘 흉강천자 - 양측 37. 편측 및 양측 흉부 움직임 38. 편측, 양측 및 엽성 호흡음 39. 흉관 삽입술 - 양측 ●심장 관련 기능: 40. 다양한 ECG 라이브러리 41. 심음 - 전면부 위치(4곳) 42. ECG 리듬 모니터링(선 4개) 43. 12리드 ECG 디스플레이 44. 제세동 및 심율동전환 45. 페이싱 ●순환 기능: 46. 코로트코프음 청진으로 BP 수동 측정 47. 경동맥, 대퇴동맥, 상완동맥, 요골, 족배동맥, 오금 및 후경골동맥 맥박이 ECG와 동기화됨 48. BP에 따라 변경 가능한 맥박 강도 49. 맥박 촉진이 감지되어 기록됨 50. 혈관 확보: 51. IV 확보(우측 팔) 52. 골내(IO) 주사(경골) 53. 자동 약물 인식 시스템 ●CPR: 54. 2020 가이드라인을 준수함 55. CPR 압박으로 촉지 가능한 맥박, 혈압 파형 및 ECG 인공 음영(Artifacts)이 생성됨 56. 실제와 같은 압박 깊이와 저항 57. 압박 깊이, 이완 및 속도 감지 58. CPR 품질에 대해 실시간 피드백 제공 ●눈: 59. 깜박임 - 느림, 정상, 빠름 및 한쪽 눈 깜박임 60. 뜸, 감음 및 부분적으로 뜸 ●동공 조절: 61. 동시/비동시 62. 반응 속도 정상 및 느림 ●기타 기능: 63. 발작/섬유속연축 64. 출혈 65. 다양한 부위에서의 출혈 시뮬레이션 66. 동맥 및 정맥 67. 활력 징후가 혈액 손실 및 치료에 자동으로 반응 68. 다양한 상처 모듈 및 물라주 키트와 작동 69. 소변 배출(변경 가능) 70. 요도 카테터 삽입 71. 분비액 72. 눈, 귀, 코, 입 73. 혈액, 점액, CSF 등 74. 발한 75. 장음 - 네 군데 76. 환자 음성 77. 미리 녹음된 사운드 78. 사용자 정의 사운드 79. 강사가 무선으로 환자의 음성 구현 80. 강사 의사소통 81. 여러 강사가 통합 음성 해설 IP를 사용해 의사소통 |
||
사용/활용예 | |||
이용안내 | |||
유의사항 |
담당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 |
---|
잠시만 기다려 주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