장비검색/예약

  • 장비활용
  • 장비검색/예약

정보제공 : ZEUS 장비활용종합포털(www.zeus.go.kr)

탄소동위원소분석기

Isotopic Carbon Dioxide Analyzer system

GBTP No. -
NFEC등록번호 NFEC-2018-07-245013
I-tube등록번호 -
보유기관 안동대학교
연락처 054-820-6992

장비정보

모델명 G2121-i 제작사 Picarro
취득일자 2018-07-10 취득금액 130,256,450원
표준분류 화합물전처리/분석장비 > 질량분석장비 > 동위원소비질량분석기 활용용도 시험
장비위치
경상북도 안동시 경동로 1375 (송천동) 388번지 안동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F4
장비설명 1. 탄소동위원소분석기는 시간개념을 기초로 한 파장 스캔의 공동감쇠분광광도법과 같은 레이저 분석방법으로
12CO2 / 13CO2, 델타 13C의 탄소동위원소를 분석한다.

2. 환경변화가 특히 심한 터널, 산, 바다, 숲 및 툰드라 지역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, 현장에서 정확한 분석을
하도록 온도 및 압력이 정확히 조절되는 분석기이다.

3. 탄소동위원소분석기는 연소모듈을 통한 헬륨, 질소매질 이나 에어매질의 이산화탄소 중 델타 13C을 분석한다.

4. 원소분석기, 탄소분석기 등 다른 분석기들과 연결하여 배출되는 가스의 탄소동위원소 비율을 측정할 수 있는 제품
이다.
구성 및 기능 1. 연소-탄소동위원소분석기(주장비) 1 set
- 측정원리 : IRIS, 19" 랙 설치 형
- 정밀도: <0.4 ‰ (0.2-0.3 ‰ typical) 샘플 분석간
- 샘플과 샘플 분 / 연소석시간: 10분 또는 이하.
- 운송가스: 질소가스(산소)
- 운소가스 유속: 분당 90 ml(질소기준)
- 분석 간격: 10초 또는 이하.
- 분석셀 온도 제어: ± 0.005 °C 또는 20℃에서 5% 이내.
- 분석셀 압력 제어: ±0.0002 atm 또는 20℃에서 5% 이내.
- 샘플온도 : 15 °C 에서 35 °C 또는 그 이상.
- 샘플유량 : 분당 0.6리터 이하(대기압 760 Torr 기준, 필터필요 없음) 또는 ~ 5 lpm.
- 샘플압력 : 300 에서 1000 Torr (40 에서 133 kPa) 또는 영향 없음(압력보상)
- 샘플습도 : 40°C 기준으로 상대습도 99% 이하 또는 98% 이상.
- 전원 : 100 –240 VAC, 47 –63 Hz (오토센싱), 분석기 시작시 260 W 이하.
동작 중: 110 W(분석기), 75 W(펌프) 또는 그 이상.
- 분석셀: 3개의 거울로 구성 또는 효과적인 분석 패스 거리.
- 분석기는 분석 챔버 내 거울을 세척할 필요 없음.

2. 외장펌프 1 ea
- 다이어프램 형식
- 모터 볼트 DC, 24VDC
- 풀로드 전류, 1.8 Amps
- 모터타입, 반영구적인 자석 브러쉬 타입
- 최대유량, 4.8리터/분
- 최대 진공도, 2 mbar

3. 내부필터 1 ea
- 테프론의 세라믹 재질 필터

4. 데이터 획득 프로그램 1 set
- 분석 응용 프로그램

5. 엘씨디 모니터 1 ea
- 23” 와이드형(16:9) 또는 이상.
- 최대 해상도, 1920X1080.
- HDTV, 스피터 내장
- 필요전력, 35w/운용시 0.3w 또는 이하.

6. 연소장치 1 ea
- 25mm 용량의 연소반응 장치로 구성
- 50개 커로셀 오토샘플러
- 연소재를 쉽게 교정 가능한 구조

7. 인테페이스 킷 (디)
- 이산화탄소를 분석할 수 있는 버퍼챔부 구조
- 분석기와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내장
- 이산화탄소 농도와 동위원소 값을 정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내장.
- 분석기와 연결할 수 있는 통신 케이블
사용/활용예 1. 벌꿀
- 경북 지역 양봉 등 생물산업 지원을 위한 벌꿀 진위 분석 및 자료 아카이빙을 통한 빅데이터 구축
- 칠곡군 등 시군단위 벌꿀 브랜드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벌꿀 진위 분석
- 토종꿀의 경우 희소성과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진위여부 및 영양/생리기능성분에 대한 분석 미비로 인한 소비자
신뢰 부족 – 한국한봉협회 등과 연계 토종꿀 분석
- 지역 내 자체 브랜드화 위한 필수 분석 자료 확보 및 신뢰성 강화

2. 식품/농생산물
- 각종 식품 및 식물의 영양단계 및 양분 동화 합성 방식에 따른 탄소 안정동위원소비 분석 및 자료 아카이빙을
통한, 식품 원산지 추적, 식품 변조, 위조, 진위 분석 및 판별

3. 생태연구
- 현재 안동대학교에서는 각종 야외 동식물 생태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, 특히 화분매개생물의 먹이 특성 연구,
토양 속 미소생물 군집 연구 등에서 영양단계 분석 등의 생태지위 연구는 향후 생물다양성을 통한 생태계 관리의
핵심적 사안임.
이용안내
유의사항

이용료안내

담당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
잠시만 기다려 주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