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제공 : ZEUS 장비활용종합포털(www.zeus.go.kr)
3,000T test and evaluation support vessel(JANG YEONG SIL)
GBTP No. | - |
---|---|
NFEC등록번호 | NFEC-2021-10-273433 |
I-tube등록번호 | - |
보유기관 | 한국해양과학기술원 |
연락처 | 051-664-3568 |
모델명 | 모델명 없음 | 제작사 | 에이치엠티 |
---|---|---|---|
취득일자 | 2021-05-31 | 취득금액 | 19,526,374,528원 |
표준분류 | 환경조성/생산/사육시설 > 이동형시설 > 연구용선박 | 활용용도 | 시험 |
장비위치 | |||
장비설명 |
#. 장영실호의 필요성
-현재 국내 해양기술 수준 및 연구 현황 -수중건설로봇, 수중운용기기, 수중탐사장비 -연구 현황 보고 #. 해양수산부와 장영실호 -기존 선박 구매 *자막: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전용선박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 -시험평가에 필요한 기능 추가 탑재 (주요개조항목, 주요 사양) -해양 장비 실해역 시험평가 전용 선박 구축 #. 장영실호의 특장점 (자막) -다양한 첨단 장비 탑재 -그로 인해 가능해진 다양한 연구 및 실증 |
||
구성 및 기능 |
□ A 프레임
A-프레임의 전체 전개 각도는 총 78.4°이며, 해양장비 진·회수시 Outboard 각도는 선외측으로 56°, 항해중 A-프레임 수납시 Inboard 22.4°로 제작 * 사양 -용량 : SWL 60톤 -크기(외부) : 20.8m(H) x 14.6m(B) -중량 : 약 90톤 -동작 범위 : -22.4°IN ~ 56°OUT -동작 시간 : 약 10분 (Max. In ~ Max. Out) -사용 방식 : 컨트롤 스탠드(선교), 리모트 컨트롤러(휴대용) □ 선박평형수 처리장치(BWTS :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) 항해시 선박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평형수의 주입과 배출을 반복하게 되는데, 이때 외래 생물종도 함께 유입 및 배출이 되면서 생태계 교란이 발생하며 이에 2017년 국제해사기구(IMO)는 선박평형수처리장치 설치 의무화를 발표함에 따라 시험평가선의 국제항해에 제약이 없도록하는 처리장치 * 사양 -모델명 : AP-150 -평형수 처리 능력 : 150㎥/h -주요 구성 장비 : Filter unit, Plasma MPUV, Control console, Electric operated valve □ 너클붐크레인 시험평가선 운항과 해양장비 테스트시 원활한 장비 운용과 중량물 이동 편의를 위하여 SWL 5톤의 너클붐 크레인을 설치 * 사양 -용량 : SWL 5톤 -높이 : 4.6m (Pedestal + Upper post) -중량 : 약 12.5톤 -작업반경 : 최대 15.0m ~ 최소 4.1m -인증기관 : 한국선급 □ 선박,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(해양환경, 선박, 수중 모니터링 센서) 해양환경 모니터링, 선박 모니터링, 수중위치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 설치 □ Wave radar 현재 선박이 존재하는 해상에서 파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센서, 해당 센서는 설치된 센서와 해수면과의 높이를 측정 * 사양 -측정 거리 : 3~80 m -측정 정확도 : 50m over ±12mm / under ±6mm -측정 주파수 : 10 Hz -Data output rate : 2 ~ 10 Hz -Data output 방식 : 2/3 wire RS485 □ ADCP(Acoustic Dopple Current Profiler) 선박의 속도/해류의 속도 측정 장치 * 사양 - Teledyne RDI Pinnacle45 - 최대수심 : 1,000 m - 속도 정확도 : 1.0 % ± 0.5 cm/s - 측정 속도 범위 : ± 9 m/s 이상 - Number of depth cells : 28 bins Narrowband - Dynamic ran - ping rate : 150 pings/Hour 1000 m profile - 빔 구성 : 4 beam phased array □ Sound velocit 수중의 음속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 측정대상 지역에서 입수하여 원하는 수심까지 입/출수하여 데이터를 측정 □ AHRS(Attitude Heading Reference System) 선박의 자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로서 선박 자세에 따른 모니터링용 센서들의 신호보정을 위해 활용되는 센서 □ GNSS(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) 선박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로서 모니터링용 센서들의 기준시간을 제공하는 핵심 센서 □ USBL(Ultra Short Base Line) 수중에 있는 시험평가 대상물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 □ 착저식콘관입시험기 최대 수심 100m 해저에 착저하여 CPT를 수행하는 장비로, 해저 지반 기초 조사장비로 활용 □ USV 시험평가 선박의 너클붐을 활용한 소형 해상 시험장비의 진·회수 실험에 사용된 USV는 무인 수상선으로 해상 환경데이터, 소나를 이용한 수중 지형정보, 수중 환경정보 등을 취득하는 장비로 선상의 진·회수장비가 필수인 장비 □ 드론 해양수색, 구조 보조, 실험시 영상 촬영 및 모니터링 용도로 사용 |
||
사용/활용예 | |||
이용안내 | |||
유의사항 |
담당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 |
---|
잠시만 기다려 주세요.